<연애, 그 참을 수 없는 가벼움> 깜짝 관객과의 대화
 
 영화 시사회를 마친 뒤, 감독님의 깜짝 등장과 함께 짤막한 관객과의 대화 시간이 이루어졌다. 
 
(* 주1. 영화를 보신 분에게 도움이 되시라는 의미인 만큼 보시지 않은 분은 안 보시길 권합니다.
주2. 특정 회사 부분은 일부러 삭제하고 정리했으며, 어디까지나 당시에 나온 얘기들을 메모한 것들로 정리한 터라 있는 그대로 봐 주시기 바랍니다. )
 
진행: 오늘 <연애, 그 참을 수 없는 가벼움>의 귀한 손님 한 분을 모셨습니다. 영화 <파이란>의 각본을 담당하셨고 , 영화 <달콤한 인생>에서는 조직 보스로 영화 배우로 나오셨던 이 영화의 감독님 이신 김해곤 감독님을 소개합니다.
 
관객: 박수
 
진행: 감독님, 먼저 한 말씀 부탁 드립니다.
 
감독: 먼저 <연애, 그 참을 수 없는 가벼움>를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영화가 입봉작인 만큼 앞으로 잘 부탁드리고 많은 분들에게 입소문 부탁 드립니다. 
 
진행: 짧은 시간이지만, 감독님과 영화에 대한 짤막한 대화의 시간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질문 부탁 드립니다.
 
관객: 영화에는 맑고 이쁘고 아름다운 이야기를 담은 영화도 얼마든지 많은데, 왜 이리 칙칙한 영화를 만드셨나요?
 
감독: 맑고 이쁘고 아름다운 이야기를 담은 영화는 저보다 잘 만드시는 분이 워낙 많으시고, 내가 만드는 건 항상 그늘지고 뭔가를 갈구하는 <파이란> 같은 영화를 그리려 한다. 그건 태생이 그래서 어쩔 수 없나 보다.
 
관객: 영화의 엔딩은 왜 그렇게 했는지?
 
감독: 그건 내가 아끼는 연아를 위한 결말이다. 그걸로 더이상 연아가 더이상 아파하지 않게 하고 싶었다. 이별도 시간이 지나면 해결해 주듯, 보기에는 윤색한 표현일지는 모르지만 그걸로 족했다.
 
관객: 감독이 생각하는 사랑은 무엇인지?
 
감독: 수 만가지 사랑이 나오지만, 영운과 연아는 가해자도 피해자도 아니다라고 생각한다. 그저 가정이란 시스템에서 사는 수경이야말로 제일의 피해자이다. 영운과 연아 이들 두 사람은 이미 아는 결말을 향해 달렸을 뿐이고, 서로 사랑만 하고 끝나는 면 좋다는 케이스는 아니라고 본다. 다만 난 저들이 더 나쁜 길을 가는 건 싫었다. 그건 일탈한 댓가가 아니라고 생각했다.
 
진행: 시간 관계상 이것을 마지막으로 한 말씀 하고 마치는 걸로 하겠습니다.
 
감독: 이 영화가 첫 작품이라 조금은 격한 감적을 그리고 석연치 않은 결말로 끝내 불편한 감이 있는 걸로 안다. 하지만, 모든 것에 답이 있는 건 아니라고 본다. 이 영화는 그에 대한 도전이었다. 오늘 이 영화를 끝까지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728x90
 유레루 관객과의 대화 (CQN명동)
 



사진: 관객과의 대화중인 니시카와 미와 감독
 
 
 * 주: 이 글은 유레루 관객과의 대화를 제가 직접 보고 들은 걸 제 생각대로 정리한 터라 실제 내용과 차이를 보일 수도 있습니다. 영화를 보신 분이라면 이해할 부분이 많지만, 그렇지 않은 분에게는 전혀 도움이 안 될 부분이 많으니 보시는 데는 주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진 및 글 정리 : 방콕맨
 
진행: 여러분 유레루 관객과의 대화에 참석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관객과의 대화 하기에 앞서 먼저 감독님에게 한 말씀 듣고 시작하겠습니다.
 
감독: 제 영화를 보기 위해 이렇게나 자리를 많이 채워 주셔서 정말 고맙습니다.
 
진행: 유레루 관객과의 대화 시작하겠습니다.
 
관객: 영화에 검사역으로 코메디언인 키무라 유이치가 등장하던데요. 그래서인지 영화의 전반부와 법정에서의 분위기가 너무나 다르게 보입니다. 그를 캐스팅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감독: 우선 제 이야기를 만들 때 고민한 것이 테마가 너무 무거운 나머지 중간에 힘들거나 싫어질까봐 여러모로 걱정을 많이했습니다. 특히 법정씬은 너무 딱딱한 분위기라서 그 부분을 매력적으로 그리고 싶었는데, 그 부분을 주인공이 하기에는 아닌 것 같아서죠. 그 때문에 변호사, 검사들에게
유머러스한 면이 있으면 좋을 것 같아서 그렇게 한 겁니다.
 
 기무라 유이치는 코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영화에서 재미있지만, 위화감을 지니는 연기를 해서 캐스팅했습니다. (* 주. 기무라 유이치는 <아무도 모른다>에 출연한 바 있다. 또한, 최근작인 <꽃보다도(花よりもなほ)>에도 캐스팅되었다)
 
관객: 극중 검사가 교토의 사투리를 사용하는데, 그 의도가 무엇인지?
 
감독: 아무래도 한글자막으로는 사투리의 뉘앙스를 전하기 힘들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교토의 사투리는 간사이 사투리라 일본에서도 아주 독특한 리듬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래서, 일본에서는 코메디언이 종종 간사이 사투리로 말하곤 합니다.
 간사이 사투리라는 게 사람과 사람사이의 거리를 가깝게 느끼게 해주는 면이 있습니다. 마음 속 깊은 곳을 긁어주면서, 한편으로는 사람의 마음을 밀쳐내는 느낌도 있어 검사의 심리전의 느낌을 표현하기에 좋을 것 같아 썼습니다.
 
관객: 주인공이 죄다 남자인데, 여성감독이신 분이 어떻게 그리 남성의 심리를 잘 아시는지?
 
감독: 이 질문은 너무나 많이 들은 질문이군요. 그건 아마도 제 성격이 남성적인 면이 많은 것 같습니다. 앞으로는 여성심리도 많이 알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객: <유레루>를 지금까지 5번 봤습니다. 감독님께선 꿈을 토대로 영화를 만들었다고 들었는데요. 꿈이 스토리에 어느 정도를 차지하는 지 궁금하구요. 그리고, 도입부이외에도 극중 곳곳에 물의 떨림이 나오는데 이 부분이 스토리에 맞춰 연결된 느낌이 있는데 꿈에서의 모습이 영화 속에 주안점을 둔 부분은 어떤 것인 지 궁금합니다.
 
감독: 우선 제가 본 꿈은 영화의 중간 부분에 남자가 누군가를 떨어뜨리고 떨어진 사람은 죽고, 떨어뜨린 그 남자는 체포당합니다. 그기로 어느 순간부터 그 사람의 인격이 조금씩 변화하는 과정까지입니다. 그 이후는 제가 본 꿈과는 상관이 없습니다. 꿈의 영상에서 영향을 받은 것이라면 숲속에서 미노루에게 일어난 일을 보는 시츄에이션이 바로 제가 꾼 꿈 속의 모습 그대로입니다.
 
관객: 오다기리 죠와 여러 작품을 하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만. 그에 대한 감독님이 생각하는 이 배우의 장점은 무엇인지 ?
 
감독: 우선 오다기리 죠 씨와 작업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 주:관객 분이 착각하고 한 질문입니다)
 이전부터 함께 작업하고 싶은 배우였고, 제가 관객의 입장에서 봤을 때에도 모델이나 탤런트가 아닌 배우 그대로이고 싶어하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진지함과 성숙함을 지니고 있는 것 같았습니다. 특히 이 영화는 연기도 매우 힘든 편이고 무거운 내용이라 타케루 역에 푹 빠져 할 사람이 필요했죠. 제가 함께 일하면서 느낀 건 너무나 영화에 대해 몰입을 잘하는 타입의 배우였습니다.
 
 오다기리 죠씨가 대본을 읽는 걸 들을 때, 제 머릿 속의 이미지 그대로였고, 대사의 톤 역시 거의 딱 맞아 떨어졌습니다.  거기에다 막상 현장에서는 매우 냉정하더군요. 처음에는 감각적일 것이라고 생각했었는데, 미국에서 연기 공부를 한 탓인지 이성적이며 매우 치밀한 사람이더군요.
 
관객: 이 영화는 전작과 현대의 흐름이 연관성이 있게 그려집니다. 비록 <산딸기>를 볼 수 없었지만, 무거운 주제와 가족등의 모습에서 <유레루>와 <산딸기>와의 연관성이 느껴지는데, 과연 그 연관성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감독: <산딸기>는 일본의 평범한 가족이 어떤 계기로 인해 붕괴되는 모습을 그린 것입니다. 그래서, <산딸기>에서는 '대체 가족이란 무엇인가?'하는 생각이 담긴 영화였습니다만, 이 영화는 딱히 가족만을 드러낸 것은 아닙니다.
전 이 영화를 통해서 인간의 양심과 악의 경계인 회색지대를 파헤치고 싶었습니다.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선과 악의 구분의 할 수 있느냐 없느냐에 대한 영화를 만들고 싶습니다.
 
관객: 극중 장례식 씬이 나오는데, 그에 대한 감독님의 의도를 알고 싶습니다. 왜, 그 장면을 택한 건 지 궁금합니다.
 
감독: 말씀하신 부분은 장례식이 아니라, 일본의 관혼상제 중에서 어머니의 장례식 1주기에 해당하는 날의 모습입니다.
 제 자신 역시 일본에서도 오래된 가옥에서 태어나고 자랐기 때문에 그곳에서 제사를 비롯한 여러가지 일을 겪었습니다. 가족과 떨어져 지내면 집에 대한 기억도 평상시에는 미처 깨닫지 못하지만, 오랜만에 함께 모이면 여러가지 모습을 볼 수 있게 됩니다. 그것이 매우 부정기적이지만, 저 역시 그와 같은 경험이 있기에 시츄에이션으로 만들어 보았습니다.
 또다른 이유는 의상이 다 같아서 촬영하기에도 편합니다.
 
관객: 감독님이 이번에 한국에 처음 오신 걸로 압니다만, <뱀딸기>에 대해 제가 조사한 바로는살달기는 청열 해독작용이 있다고 하는데요.  제목을 그렇게 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통역: 우선 감독님은 이번이 한국의 2번째 방문입니다.  영화의 제목을 <뱀딸기>라고 하셨는데, 일본어로는 뱀딸기이지만, 우리말로번역하면 <산딸기>입니다.
(*주: 8회 부산 국제 영화제에 <산딸기>를 출품한 바 있습니다)
 
감독: 질문하신 분이 조사하신 뱀딸기의 효능에 관한 부분에 대해선 전 방금 막 알았습니다. 원래 산딸기는 영화 속에 등장하는 소도구 중 하나였는데, 어느 순간 '그래, 제목은 이거 밖에 없어.'란 생각이 들어 선택했습니다.
 
관객: 끝장면에서 형이 버스를 타는 가 안 타는 가에 대한 감독님의 엔딩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감독: 이 영화의 엔딩에 대한 건 보는 이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고 봅니다. 여기에 지금 계신 여러분에게 손을 들어서 엔딩에 대한 견래를 물어본다면아마도 둘로 나뉘어질거라고 봅니다.

엔딩에 대해서는 저자신도 처음에 생각한 것과 지금 제가 생각하는 엔딩은 다릅니다. 이부분은 역시 영화를 보신 여러분의 입장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진행: 이만 관객과의 대화를 마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감독님의 한 말씀을 듣는 걸로 마치겠습니다.
 
감독: 저도 한국에 와서 너무 기쁩니다. 한국 영화를 많이 보는데, 어젯밤 <괴물>을 본 뒤, 한국 영화의 시스템이 일본에 비해 더 좋아서 부러웠습니다. 존경하는 한국 영화 감독님을 만나서 좋았고 짧은 시간이나마 한국 영화의 제작 방식을 배울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관객분들도 너무나 적극적이고 뚝심과 노력이 있으셔서 좋았습니다.

 저도 와서 여기저기 보고 배운 것들을 돌아가서 더욱 더 열심히 노력하도록 하겠습니다. 와주셔서 감사합니다.
 
관객: 박수
 

   
  
728x90

 

<유레루> CQN 명동 관객과의 대화 스케치

 

관객과의 대화 전 상영관

 

 

 

무대인사 전 준비와 사전 체크중인 스텝


 

 

관객과의 대화 : 진행자

 

 

진행자, 통역, 니시카와 미와 감독

 

 

관객에게 인사하는 니시카와 미와 감독

 

 


관객의 질문을 설명하는 통역, 니시카와 감독

 

 
객석의 반응을 보는 니시키와 감독


 


니시카와 감독을 바라보는 관객

 

 

 

관객의 모습을 담고 있는 카메라

 


질문에 답하는 니시카와 감독

 

 

관객과의 대화를 마치고, 인사하는 니시카와 감독

 

 

 
관객과의 대화를 마무리 하는 진행자

 

 

출처 : REVIEWER 방콕맨 ROOM

728x90

 

천하장사 마돈나 시사회에 깜짝 무대인사 열리다
 
 지난 17일 목요일, 저녁 9시 브로드웨이 2관에 열린 <천하장사 마돈나> 시사회 상영전, 이 영화의 출연 배우의 깜짝 무대인사가 열렸다.
 
 이 날, 무대인사에는 이 영화의 주연을 맡은 오동구 역의 류덕환 군과 극중 씨름부 주장인 이 언 군이 직접 참여해 깜짝 무대인사를 했다.
 
 
천하장사 마돈나 무대인사




728x90

+ Recent posts